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의 역사

고려의 8대 왕, 현종(顯宗) – 위기를 극복하고 고려를 재건한 왕

by dami2love 2025. 3. 22.
300x250

현종.

고려 8대 왕 **현종(顯宗, 9921031, 재위 10091031)**은 고려 역사에서 국가를 안정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군주였습니다. 거란의 침입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대대적인 국방 강화와 행정 개혁을 통해 고려의 중흥을 이끌었죠. 이번 글에서는 현종의 업적과 고려 왕조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 현종의 즉위 –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험난한 길

현종은 고려 5대 왕 경종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후궁 헌정왕후 황보씨로, 태어날 당시에는 왕위 계승 서열에서 멀리 떨어진 인물이었습니다.

그런데 1009년, 당시 왕이었던 **목종(穆宗)**이 강조의 정변(康兆之變)으로 폐위되면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고려의 실권을 쥐고 있던 강조가 새로운 왕을 세우려 했고, 왕실의 적통을 유지하려는 명분으로 당시 개성에 유배 중이던 현종을 즉위시켰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즉위하자마자 고려가 거란의 2차 침입(1010년)을 받는 위기에 빠졌다는 것입니다.


🔹 거란과의 전쟁 – 고려를 지켜낸 왕

현종 재위 기간 동안 고려는 거란(요, 遼)의 침략을 세 차례(1010년, 1018년, 1019년)나 받게 됩니다.

거란의 2차 침입 (1010년) – 강조의 정변으로 인한 보복

강조가 거란과 친밀했던 목종을 폐위시키면서, 거란은 이를 빌미로 4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했습니다. 거란은 수도 개경을 함락시키고 불태웠으며, 현종은 나주까지 피난을 가야 했죠.

하지만 서희의 외교전략을 계승한 고려는 거란과의 협상을 통해 철군을 이끌어냈습니다. 이후 현종은 개경을 복구하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게 됩니다.

거란의 3차 침입 (1018~1019년) – 귀주대첩의 승리

거란이 다시 1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하자, 강감찬 장군이 이끄는 고려군이 귀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이 승리로 거란은 더 이상 고려를 공격하지 못하게 되었고, 고려와 요나라 사이에는 이후로도 비교적 평화로운 관계가 유지되었습니다.


🔹 현종의 개혁 정책 – 고려를 안정시키다

현종은 거란의 침략 이후 나라를 재건하는 데 집중하였고, 많은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1️⃣ 전국적인 행정 개편 – 5도 양계 체제 정비

현종은 전국을 5도(五道)와 양계(兩界)로 나누어 지방 통치 체계를 정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중앙집권을 강화하고, 국가 운영을 효율적으로 만들었습니다.

2️⃣ 군사 강화 – 국방 체계 정비

거란과의 전쟁을 경험한 현종은 개경과 국경 지역에 성을 쌓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또한 주현군과 주진군을 정비하여 국방 체계를 더욱 탄탄하게 구축하였습니다.

3️⃣ 사회 안정 정책 – 조세 개혁과 흑창 운영

전쟁으로 인해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지자, 흑창(恤倉)을 운영하여 빈민을 구제하고, 토지와 세금 제도를 개혁하여 국가의 경제력을 안정시키려 했습니다.

4️⃣ 불교 진흥 – 법안종과 화엄종 장려

현종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켰고, 법안종과 화엄종 같은 불교 종파를 보호하며 왕권을 강화하는 데 이용했습니다.


🔹 현종의 유산 – 고려의 중흥을 이끌다

거란의 침략을 막아낸 왕 – 거란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고려의 독립을 지켜냈습니다.
행정 체계를 개편한 군주 – 5도 양계 체제를 정비하여 국가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만들었습니다.
불교 진흥과 사회 안정 정책 – 불교를 보호하고 조세 개혁을 단행하여 백성들의 삶을 안정화시켰습니다.

현종은 혼란스러운 시기에 즉위했지만, 전쟁을 이겨내고 고려를 더욱 강한 나라로 만들었습니다. 그의 개혁과 승리는 고려가 이후에도 강력한 왕조로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

 

 

 

일본 인구 현황 및 지역별 특징 총정리

 

일본 인구 현황 및 지역별 특징 총정리

일본 인구 현황 및 지역별 특징 총정리    일본은 현재 심각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출생률 저하와 사망률 증가로 인해 일본의 총인구는 계속 줄어드는 추세인데요.

dami2love.dami4love.com

 

우리나라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대한민국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

 

우리나라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대한민국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

🇰🇷 우리나라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대한민국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우리나라의 역사에는 수많은 위대한 인물들이 있었습니다.나라를 지키고, 문화를 발전시키고, 과학과 예술을 꽃피운 1

dami2love.dami4love.com

 

고려의 7대왕 목종의 생애와 가계도

 

고려의 7대왕 목종의 생애와 가계도

고려의 제7대 왕 **목종(穆宗)**은 고려의 왕조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통치는 정치적 혼란과 후궁의 권력 다툼, 그리고 왕권의 약화와 관련이 깊습니다. 목종은 왕위에 오른 뒤

dami2love.dami4love.com

 

고려 제4대 왕 광종의 가계도와 역사적 배경

 

고려 제4대 왕 광종의 가계도와 역사적 배경

고려 제4대 왕 광종의 가계도와 역사적 배경목차- 광종의 출생과 즉위 배경 - 광종의 가계도 - 광종의 가족 관계 - 광종의 업적과 평가 - 광종의 사망과 후계자광종의 출생과 즉위 배경광종(光宗,

dami2love.dami4love.com

 

조선 태조 이성계의 가계도 조선 왕조의 뿌리를 이루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가계도 조선 왕조의 뿌리를 이루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가계도: 조선 왕조의 기틀을 다진 가족 관계목차 - 태조 이성계와 조선 왕조의 시작 - 태조 이성계의 부모와 형제 - 태조의 배우자와 자녀 - 태조 가계도의 역사적 의의 - 태

dami2love.dami4love.com

 

조선시대와 유럽의 동시대 역사 비교

 

조선시대와 유럽의 동시대 역사 비교

조선시대와 유럽의 동시대 역사: 주요 사건 비교목차1. 조선 건국과 유럽의 중세 말기2. 세종대왕 시기와 르네상스 시대3. 임진왜란과 유럽의 종교개혁4. 조선 후기와 유럽의 계몽주의5. 결론 및

dami2love.dami4love.com

 

300x250